수지구 학군 인기, 초등학교 과밀화로 이어지다

용인시 수지구에 거주하며 아이를 키우는 학부모로서, 저출산이라는 사회적 흐름과는 달리 지역 내 초등학교의 과밀 현상을 체감하고있어요. 이는 수지구의 특수한 인구 구조와 교육 환경에서 비롯된 현상으로 보여져요. 이에 대한 글들을 찾아볼까해요.

0511 1
학교명1학년2학년3학년4학년5학년6학년총학생수
수지초3082992792722602131,631
풍천초1951962172582282141,308
풍덕초2041721941922122031,177
정평초132152137138155173887
토월초141105125113123124731
신월초736251926068406
  • 과밀학급 비율: 2022년 기준, 용인시의 과밀학급 비율은 45.5%로, 경기도 내에서도 높은 수준이에요.
  • 지역별 인구 유입: 수지구는 우수한 학군과 신도시 개발로 인해 인구 유입이 지속되고 있으며, 이는 초등학교의 과밀 현상으로 이어지고 있어요.
  • 학급당 학생 수: 일부 학교에서는 학급당 학생 수가 30명을 초과하여 과밀학급 기준을 초과하고 있어요.
  1. 🧑‍🏫 교사 1인당 학생 수 증가
    • 개별 학생에 대한 관심과 지도가 어려워짐
    • 학습 부진 학생이나 정서적 어려움을 겪는 아이들을 놓치기 쉬움
  2. 🗣️ 수업 질 저하
    • 학생 수가 많을수록 토론, 발표, 피드백 중심 수업이 어려워짐
    • 교사는 수업보다 질서 유지를 우선하게 되어 창의적인 교육이 줄어듬.
  3. 🏃‍♂️ 활동 공간 부족
    • 운동장, 급식실, 화장실 등 공용 시설이 혼잡해져 불편 증가함.
    • 체육활동, 야외수업 등이 제약받음.
  4. 📉 학생 간 갈등 가능성 증가
    • 많은 아이들이 밀집된 환경에서는 사소한 마찰이 더 자주 발생함.
    • 교사 관리가 어려워져 교우관계에 문제가 생기기 쉬움.
  5. 🧘 정신적 스트레스 증가
    • 소음, 붐빔, 교사의 충분한 관심 부족으로 인해 정서적 안정감 감소.
    • 내성적인 아이나 민감한 아이들은 더욱 위축될 수 있음.
  6. 🔍 학부모 만족도 하락
    • 안전 문제, 교사 질 저하, 시설 부족 등으로 인해 불만이 커짐.
    • 지역 간 교육격차가 심화됨
  7. 🏗️ 신규 학교나 증축 필요성 증가
    • 예산 부담, 지역 간 형평성 논란 등 행정적 과제 발생.
    • 주택 개발은 진행됐지만 교육 인프라는 미처 따라가지 못한 경우 많음.

4. 용인시 초등학교 과밀 해소를 위한 정책 및 대책

1. 경기도교육청의 과밀학급 해소 종합대책 추진

경기도교육청은 과밀학급 해소와 학교 신설을 위한 종합대책을 추진하고 있어요. 이 대책은 개발지역 중심으로 발생하는 과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 교실 확보, 학급당 학생 수 기준 하향 조정 등을 포함하고 있어요.

2. 용인시의 안심통학버스 운영

용인시는 학교 주변 안전문제와 과밀학급 해소를 위해 안심통학버스를 도입하였어요. 이 사업은 통학 거리가 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며, 현재 처인구 14개, 기흥구 2개, 수지구 1개 등 총 17개 학교에서 운영되고 있어요.

3. 학교 신설 및 증축 추진

용인시와 용인교육지원청은 과밀학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교 신설과 증축을 추진하고 있어요. 예를 들어, 역북초등학교는 체육관을 건립하기로 하였으며, 용천초등학교는 수영장 등 복합시설을 세우기로 계획하고 있어요

  • 용인시 초등학교 입학생 감소
    2024년 용인시 초등학교 취학 예정자는 8,647명으로, 전년 대비 1,151명 감소했고, 수지구는 3,213명으로, 전년 대비 11% 감소했어요.
    🔗 용인신문 기사

이 게시물이 얼마나 유용했습니까/

평점을 매겨주세요.

평균 평점 0 / 5. 투표수: 0

가장 먼저, 게시물을 평가 해보세요.

Leave a Comment

error: Content is protected !!